반응형

  정규 분포로 잘못 간파한 예에는 다음과 같은 것도 있다.  벨기에의 통계학자인 랑베프 케틀레(Lambert Quetelet, 1796~1874)는 프랑스군의 징병 검사 때 측정된 젊은 이들의 키에 대해 흥미로운 점이 있을을 알아 차렸다. 

 

일부 젊은이의 거짓말이 기록에 남았다. 

프랑스 징병 검사 추정한 젊은이들의 분포

 키의 분포를 보면 거의 정규 분포를 따르고 있어,  평균 전후의 키인 사람이 많고 극단적으로 키가 큰 사람과 반대로 키가 작은 사람은 적었다. 

 

  다만 157cm 전후 부분만은 정규 분포에서 벗어나 있었다.  157cm보다 약간 큰 사람이 적고 반대로 157cm보다 약간 작은 사람의 수가 극단적으로 많았던 것이다. 

 

  그 이유를 케틀레는 다음과 같이 추측했다.  당시 프랑스군은 키 157cm 이상인 젊은이를 징병했다.  그래서 157cm 보다 약간 큰 젊은이들 가운데 징병에서 빠지려는 사람들이 키를 작게 속인 것이다.  그 결과 정규 분포가 무너져 157cm를 웃도는 사람은 실제보다 적고, 157cm 이하인 사람은 실제보다 많이 기록된 것이다. 

 

인간을 원자로 보는 '사회 물리학'

 케틀레는 왜 이런 일에 관심을 가졌을까?  사실 케틀레는 인간 집단의 활동을 기록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의 법칙'을 이끌어 내기 위해 여러가지 데이터를 조사했다.  예컨데 물리학은 무수한 원자의 움직임으로 다양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케틀레는 물리학에 따라 인간을 원자로 보고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이론을 세우려고 한 것이다. 

 

그 대상은 범죄 발생건수, 사망률, 근력, 남녀의 출생비 등 여러 종류에 이르렀다.  당시 키에 관계없이 비만을 나타내는 수치로 케틀레가 제창한 BMI는 현재도 비만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케틀레가 제창한 '사회 물리학'은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켜 여러 가지 데이터를 다루는 통계학의 발전으로도 이어 졌다. 그래서 케틀레는 현재 '근대 통계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참고자료 :  뉴턴 하일라이트 통계와 확률의 원리

반응형

+ Recent posts